라벨이 알로카시아인 게시물 표시

다육식물 용월 정보와 키우는 방법

이미지
 5월에 피는 용월의 꽃 다육식물인 용월은 봄철에 별 모양의 흰색 꽃을 피웁니다. 꽃잎에는 붉은 반점이 박혀있어 매력이 더합니다. 아래의 사진은 남해에서 찍은 용월의 사진입니다.  용월의 꽃 학명 및 원산지 학명 : Graptopetalum paraguayense(무늬가 있는 꽃잎을 가진 식물이라는 의미와 파라과이라는 뜻이나, 실제로 용월은 원산지가 멕시코로 명명 당시 식물 원산지에 대한 오해가 있었던 것으로 추정됨) 영문명 : Ghost Plant(용월의 잎이 유령처럼 희미하고 신비한 느낌을 주기 때문에 붙여진 이름) 과명 : 돌나물과 원산지 : 멕시코 초보자도 쉽게 키우는 방법 용월은 초보자도 쉽게 키울 수 있는 식물입니다.  햇볕 : 6시간 이상 밝은 햇볕이 쬐는 곳에서 잘자랍니다.  온도 : 10~25도에서 잘자라며, 겨울에는 실내로 옮겨 냉해를 받지 않도록 해야 합니다. 물주기 : 다른 다육식물처럼 과습에 주의해야하며, 잎에 수분이 빠져 쭈굴쭈굴해졌을 때 물을 흠뻑 주시면 됩니다.  토양 : 배수가 잘되는 마사토가 섞인 흙이 좋습니다. 번식 : 다른 다육식물처럼 잎꽃이로 손쉽게 번식 시킬 수 있습니다.  독성유무와 식용 가능 여부 용월은 독성이 없어서 아이나 반려동물이 있는 집에서 안전하게 키울 수 있는 식물입니다. 제주도  등지에서 식재료로도 사용되기도 한다고 합니다. 

제브리나 알로카시아 분갈이와 자구 발견

이미지
알로카시아 제브리나( Alocasia zebrine) 의 이름 알로카시아 제브리나를 키운지 3년 정도되어 가는 듯합니다. 처음 포트로 인터넷에서 구입하였으며, 일반적인 알로카시아와 달리 몸체에 줄무늬가 있는 것이 얼룩말과 같다고 해서 붙여진 이름이 제브리나라고 합니다. 다른 이름으로는 워낙 큰 잎으로 코끼리 귀 식물이라고도 불립니다.  알로카시아 제브리나 키우는 팁!! 제브리나는 성장이 큰 만큼 물을 좋아합니다. 다만 과습에 주의를 해야하므로, 가급적 작은 화분에 키우시기를 추천드립니다. 큰화분은 물관리가 힘들기 때문입니다.  햇볕은 직사광선은 적당하지않고, 베란다 밝은 쪽에 두시면 좋습니다. 제브리나는 아열대 지방이 원산지로 우리나라의 겨울 추위를 견디지 못합니다. 따라서 기온이 떨어지는 겨울에선 베란다에서 거실로 옮겨야 합니다. 제브리나 자구 발견 우리집의 생육환경이 제브리나에게 맞은지 잎을 매우 잘 뽑아주고 있고, 금년에는 흰색 무늬 잎장 이외에도 새로운 개체가 옆에서 솟아 났습니다. 알로카시아는 자구로 번식을 한다고 합니다. 자구는 뿌리 쪽에 동그란 공처럼 생긴 것을 말하는데 거기에서 새로운 잎이나와서 모주로부터 독립적인 개체가 됩니다. 2번 째 화분갈이를 하고서야 자구를 발견하게되었습니다.  제브리나 자구 제브리나 화분 분갈이  제브리나가 너무 잎이 커지고 무성해 지면서 공간을 너무 차지하게 되어 가지를 정리할 수 있는 지지대를 다이소에서 구입하였습니다. 가장 긴것으로 구입했는데 가로로 가지를 모아주는 링을고정할 수 있는 방법이 없더군요. 싼게 비지떡이란 말이 생각나더군요.  아무튼 좁은 화분에서 큰 화분으로 옮기자 마자 새순이 올라오느게 신기합니다. 좁은 화분에서는 새로운 생명이 자랄 공간이 없다는 것을 알고 있다는 듯한 느낌이 듭니다. 큰 화분으로 옮겼음에도 너무 무성하게 자라는 듯하여 휴일에 새개체는 별도의 화분에 옮겨주는 작업을 하였습니다. 뿌리가 상당히 얽혀있어서인지 잘 뽑히지 않습니다. ...

알로카시아 제브리나 바리에가타 키우기

이미지
알로카시아 제브리나는 알로카시아의 매력에 한참 키워오던 때 구입했던 품종입니다. 제브리나는 여타 알로카시아와 달리 줄기 부분에 검은 점들이 생긴 모습이 얼룩말 처럼 보인다하여 붙여진 이름이라고 합니다. 얼룩말의 영어는 ZEBRA이니 발음이 유사하긴 합니다. 알로카시아 제브리나 생육환경 제브리나의 광양은 창문을 통과하는 간접광이 좋습니다. 여름철의 강한 광량을 잎을 타게 만듭니다. 제브리나의 원산지는 동남아시아로 우리나라의 겨울을 바깥에서 견딜 수 있는 식물은 아닙니다.온도는 15도 이상 되어야 하며, 이보다 낮은면 냉해를 입을 수 있습니다.  겨울철에는 반드시 베란다에서 거실로 들여보내야 합니다 통상 아파트 베란다의 경우 한겨울에 15도 미만으로 떨어지는 곳이 대부분입니다. 토양은 물이 잘빠지는 혼합토로 심었습니다. 식물의 경우 말라서 죽는 것 보다는 과습으로 뿌리가 상해서 수분 흡수를 못해 죽는 경우가 많았습니다. 따라서 물을 자주 줘야하는 귀찮은 점도 있지만 물이 잘빠지는 토양을 저는 선호합니다.  물은 다른 식물들 처럼 겉 흙이 말랐을 때 물이 스며 나올 정도로 충분히 주는 것이 좋습니다. 물을 충분히 스며나올 수 있게 주는 이유는 화분 전체에 골고루 수분이 전해지도록 하는 것입니다. 물을 조금씩 자주 줄 경우 화분 속의 물길로만 수분이 흡수되어 화분 전체의 흙에 골고루 수분이 전해지지 않아 뿌리가 수분을 흡수하는데 악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새로운 개체는 자구로 번식이 이루어집니다. 뿌리 쪽에 동그란 공같은 곳에서 새 개체가 발생합니다.  알로카시아도 잎에 무늬가 발현되는 경우가 있는데 무늬가 생기는 종을 바리에가타라고 불립니다. 일반적인 제브리나와 가격차이가 있습니다. 제가 키우는 종도 흰샌 무늬가 발현되는 종이긴 한데 무늬가 상당히 좋은 잎이 나더라도 다음번에 유사한 무늬 잎이 생긴다는 보장이 없습니다. 알로카시아 제브리나 바리에가타 제가 키워본 알로카시아 중에서 제브리나는 상당히 잘크는 품종이었습니다. 물을 줄 때 과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