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벨이 풀협죽도인 게시물 표시

초보자도 쉽게 따라하는 당근 재배 가이드

이미지
텃밭에서 당근을 키우고 싶지만 어떻게 시작해야 할지 막막한 분들을 위해, 당근 재배의 핵심 포인트를 쉽게 정리했습니다. 당근은 다른 채소와 달리 씨앗을 직접 밭에 뿌리는 것이 중요하며, 모종을 옮겨 심으면 제대로 자라지 않는 특징이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당근 씨앗 파종부터 수확까지 꼭 알아야 할 노하우를 소개합니다. 1. 당근은 모종이 아닌 씨앗 직파가 핵심 당근은 모종을 만들어 옮겨 심으면 뿌리가 제대로 자라지 않고 둥글게 변형됩니다. 그래서 당근은 처음부터 씨앗을 뿌릴 위치를 정해 한 자리에서 키워야 합니다. 씨앗을 파종할 땅은 부드럽게 고르고 흙덩어리가 없도록 준비하는 것이 좋습니다. 왼쪽은 옮겨 심은 당근, 오른쪽은 한자리에서 키운 당근 2. 당근 씨앗 파종 방법 씨앗은 1~2cm 간격으로 얕게 뿌립니다. 너무 깊게 묻지 말고 흙으로 살짝 덮어줍니다. 수분이 잘 유지되도록 자주 물을 주어야 발아가 잘 됩니다. 3. 솎아내기와 관리 싹이 트면 너무 빽빽한 부분은 솎아내 주세요. 그래야 뿌리가 충분히 공간을 확보해 건강하게 자랄 수 있습니다. 당근은 병충해가 적고 키우기 쉬워 초보자에게 안성맞춤인 작물입니다. 4. 당근 수확과 활용 팁 보통 씨앗 파종 후 80~100일이 지나면 수확할 수 있습니다. 당근 윗부분을 잘라 물에 담가두면 새로운 줄기와 잎이 자라는데, 이 부분 역시 베타카로틴과 다양한 영양소가 많아 함께 먹으면 좋습니다. 마무리 당근은 뿌리를 길게 뻗어야 하므로 반드시 처음 씨앗을 뿌린 자리에서 끝까지 키우는 것이 중요합니다. 텃밭에서 당근을 키우고 싶다면 이 점만 꼭 기억하세요. 병충해 걱정도 적고 관리도 간편해, 텃밭 가꾸기 첫 작물로도 손색없습니다. 오늘 당근 씨앗을 심고 건강한 수확의 기쁨을 누려보세요!

아파트 화단의 풀협죽도

이미지
요즘 아파트 화단에 보랏빛 꽃들을 환하게 피우는 꽃이 있습니다.  예전에 보지 못했는 꽃이라 찾아보니 이름이 풀협죽도라고 합니다. 제주도 등 따뜻한 남해안에서 쉽게 찾아볼 수 있는 협죽도처럼 풀협죽도도 독성이 매우 강한 식물이라고 합니다. 따라서 여기에서는 풀협죽도의 일반사항과 독성, 그리고 중독 사례 등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풀협죽도의 일반사항 1. 학명 : Nerium oleander 2. 원산지 : 남유럼, 북아프리카, 서남아시아 등 지중해 연안지역 3. 생육환경 : 건조하고 따뜻한 지역에 생장이 활발하고, 생명력이 강해 척박한 땅에서도 잘 자랍니다. 토양은 배수가 잘되는 곳 햇볕이 잘드는 곳에 잘자랍니다. 아파트 화단의 풀협죽도 풀협죽도 꽃 4. 독성 : 풀죽협도는 식물 모든 부위에 독성이 있다고 합니다. 잎, 줄기, 꽃을 섭취하면 생명에 위험해 질 수 있어 매우 주의해야합니다. 특히 인간 뿐만 아니라 동물에게도 독성이 있기 때문에 아이들이나 애완견이 잎 등을 먹지 않도록 해야합니다.  풀협죽도가 주변에 많아진 이유 풀협죽도는 우리나라에 자생하는 식물은 아니며, 관상용으로 도입된것으로 보입니다.  풀협죽도는 전세계적으로 정원이나 공원 등 조경용으로 많이 사용되는 식물이라고 합니다. 어느시기인지는 정확히 알수 없으나, 일제강점기 이후 해외식물이 많이 들어오면서 우리나라에 정착한 것이 아닌가 추측됩니다.  외래종의 경우 우리나라의 기후에 적응하지 못하여 소멸하는 경우가 많은 데, 풀협죽도가 눈에띄게 많아진 것을 보면, 아마도 풀협죽도가 살기에 좋은 기후로 우리나라가 바뀌고 있는 것은 아닌지 걱정됩니다.  과거에 풀협죽도는 제주도나 남해안 일대에 자주 볼수 있었으나 이제 수도권에서도 쉽게 찾아 볼 수 있는 것으로 봐서 전체적으로 우리나라 기온이 상승중에 있는 것으로 판단됩니다. 풀협죽도 위험성 풀협죽도는 독성이 강한 식물로 섭취하거나 피부에 접촉했을 때 중독 사고가 발생할 수 있다고 합니다. 전세계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