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벨이 고구마인 게시물 표시

초보자도 쉽게 따라하는 당근 재배 가이드

이미지
텃밭에서 당근을 키우고 싶지만 어떻게 시작해야 할지 막막한 분들을 위해, 당근 재배의 핵심 포인트를 쉽게 정리했습니다. 당근은 다른 채소와 달리 씨앗을 직접 밭에 뿌리는 것이 중요하며, 모종을 옮겨 심으면 제대로 자라지 않는 특징이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당근 씨앗 파종부터 수확까지 꼭 알아야 할 노하우를 소개합니다. 1. 당근은 모종이 아닌 씨앗 직파가 핵심 당근은 모종을 만들어 옮겨 심으면 뿌리가 제대로 자라지 않고 둥글게 변형됩니다. 그래서 당근은 처음부터 씨앗을 뿌릴 위치를 정해 한 자리에서 키워야 합니다. 씨앗을 파종할 땅은 부드럽게 고르고 흙덩어리가 없도록 준비하는 것이 좋습니다. 왼쪽은 옮겨 심은 당근, 오른쪽은 한자리에서 키운 당근 2. 당근 씨앗 파종 방법 씨앗은 1~2cm 간격으로 얕게 뿌립니다. 너무 깊게 묻지 말고 흙으로 살짝 덮어줍니다. 수분이 잘 유지되도록 자주 물을 주어야 발아가 잘 됩니다. 3. 솎아내기와 관리 싹이 트면 너무 빽빽한 부분은 솎아내 주세요. 그래야 뿌리가 충분히 공간을 확보해 건강하게 자랄 수 있습니다. 당근은 병충해가 적고 키우기 쉬워 초보자에게 안성맞춤인 작물입니다. 4. 당근 수확과 활용 팁 보통 씨앗 파종 후 80~100일이 지나면 수확할 수 있습니다. 당근 윗부분을 잘라 물에 담가두면 새로운 줄기와 잎이 자라는데, 이 부분 역시 베타카로틴과 다양한 영양소가 많아 함께 먹으면 좋습니다. 마무리 당근은 뿌리를 길게 뻗어야 하므로 반드시 처음 씨앗을 뿌린 자리에서 끝까지 키우는 것이 중요합니다. 텃밭에서 당근을 키우고 싶다면 이 점만 꼭 기억하세요. 병충해 걱정도 적고 관리도 간편해, 텃밭 가꾸기 첫 작물로도 손색없습니다. 오늘 당근 씨앗을 심고 건강한 수확의 기쁨을 누려보세요!

고구마가 쓴 맛이 나는 이유와 예방 조치

이미지
늦가을부터 먹는 고구마는 감자에 비해 단맛이 강하고, 혈당스파이크를 높이지 않아 좋아하는 채소의 하나입니다. 그런데 고구마를 삶거나 굽거나 해서 먹을 경우 쓴 맛이 나는 경우가 있습니다.  고구마의 겉 모습에는 이상이 없어 잘못하면 그냥 생각없이 입에 넣게 됩니다. 여기에서는 고구마가 쓴 맛이 나는 이유와 예방 조치 등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I. 정상적인 고구마와 쓴 맛이 나는 고구마 비교 사진 아래쪽의 사진에서 밝은 노란색을 띄고 있는 고구마가 정상적인 맛을 내며, 위 쪽의 푸르스럼한 색깔의 고구마가 쓴 맛을 냅니다. 동일한 날에 구워낸 고구마입니다.  정상적인 고구마와 쓴 맛이 나는 고구마 II. 고구마에서 쓴 맛이 나는 이유 고구마가 상처를 입거나 부패하게되면 이포메아마론이라는 폴리페놀 화합물이 생성되는데 이 물질이 쓴맛을 유발합니다. 이포메아마론은 폴리페놀과 폴리페놀옥시다아제라는 효소가 반응해서 발생되는 물질입니다.  일반적으로 알고 있는 폴리페놀은 식물에서 자연적으로 생성되는 항산화물질로 건강에 이로운것으로 알려져있으나, 고구마가 상처를 입었을 경우 발생하는 이포메아마론은  과다하게 섭취할 경우 위장장애를 일으킬 수 있는 독성을 지니고 있어 주의해야 합니다. 동물실험에서 고농도의 이포메아마론은 간과 신장에 손상을 준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III. 고구마에서 쓴 맛이 날 경우 섭취 가능 여부 고구마에서 쓴 맛이 나는 것은 고구마에 상처가 났거나 부패한 것으로 볼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이포메아마론이 생성되었으므로 섭취를 해서는 안되겠습니다.  IV. 쓴 맛이 나지 않도록 하는 예방 조치 1. 고구마 수확시 상처가 나지 않도록 조치 이포메아마론은 고구마가 스스로 상처를 치유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물질이므로 고구마를 수확할 때 상처가 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합니다. 2. 고구마의 저장온도를 13~15도 유지 열대성 식물인 고구마의 경우 10도 이하가 되면 세포막이 파괴되어 효소반응이 촉진되어 독성...